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주택임대차보호법2

바뀐 집 주인이 실거주땐, 세입자 계약갱신권 거절이 가능할까? 계약 만료 두달전까지 새집주인이 실거주 할 경우, 세입자 계약갱신 거절 가능 대법, 임대차보호 분쟁 첫 판례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임차인 계약갱신권제도가 도입된 이후 집을 매수해서 실거주하려는 새집주인과 임차인 간 분쟁이 이슈가 되었습니다. 실거주 목적으로 기존에 거주했던 임차인의 갱신여부를 확인하고 주택을 매수했지만 이후에 임차인이 계약갱신권을 행사하겠다고 태도를 바꿔 갈등이 있는 사례도 있다보니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지나치게 집주인의 재산권 행사를 제약한다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임차인이 전세계약을 갱신할 것을 요구한 뒤 그 집을 산 새주인이라도 실거주 할 경우에는 계약 갱신을 거절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2020년 세입자의 계약 갱신 요구권과 집주인의 거절권에 대해서 주택임대차.. 2022. 12. 20.
임대차 3법(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신고제, 전월세상한제) 개념 및 목적, 문제점은 무엇? 임대차 3법 개념 및 목적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신고제, 전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 전월세신고제, 전월세상한제 도입은 주택임대차보호법 및 부동산거래신고법의 개정안입니다. 2020년 7월 31일 국무회의에서 개정안과 공포안이 바로 심의 의결 되었으며,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는 의결 즉시 시행되었으며, 전월세신고제는 2021년 6월 1일 시행되었습니다. 전월세신고제란? 이 법이 개정되기 전에는 매매만 실거래가신고를 하게끔 되어 있었는데요, 임대차도 '누가 누구랑 얼마에 계약을 했다.'라고 국가에 신고하게끔 만들어졌습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이란? 2년 계약을 하고 2년 종료가 되면 임대인과 임차인 합의하에 갱신 또는 퇴실을 요구했지만, 앞으로는 임차인이 원하면 무조건 갱신을 해줘야 합니다. 그 기간은 2+.. 2022. 11. 14.
728x90
반응형